14기 - 11. 일상생활에서의 자극감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관련링크
본문
[경과]
이00 - 약을 끊은지 두달이 다 되어 간다. 처음에는 약을 먹지 않더라도 가지고 다녔
어야 했는데, 이젠 장거리를 가도 잊고 갈 때도 있다. 약의 작용이 내 몸에서
다 사라질 때 또 몸이 안좋아 질까 걱정이 되었는데, 감기 걸릴 때 미리 백신
주사를 맞듯이 필요할 때면 언제든 먹어도 된다는 생각을 가졌다. 최근에는
공황이 와도 그러려니, 괜찮겠거니 한다.
안00 - 수업 오는데 아이 때문에 좀 힘들다. 다음주 졸업식인데, 참석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공황에 대해서는 좋다 말다 하지만.. 자신감을 쌓아가고 있다.
김00 - 자극감응훈련 하고 종아리가 많이 땡겼다. 처음 공황이 왔을 때의 공황 촉발
요인이 무엇이었을까 궁금해진다. 그 때는 공황이 무엇인지도 모르고 당했으니
공황 장애라기 보다는 공황에 가깝지 않았나 한다. 공황장애 진단을 받고 나
서야 공황에 대한 두려움이 생겼다. .. 요즘은 괜찮아지고 있다.
임00 - 두번정도 공황을 경험했다. 아직 약에 의존하는 것 같아 좀 속상하고 기분은
좋지 않지만 예전과는 확실히 대처하는 방법이 다르다.
[ 문제 풀이 ]
교재에 있는 각장의 요약 문제를 정리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대체로 교재의 내용과
강의의 내용을 잘 이해하고 계셨습니다.
[ 강의 내용 ]
1. 치료 중 겪는 공황
치료 진행 중 공황의 경험은 오히려 도움이 된다.
< 도움이 되는 지시문 >
1) 불안과 공황은 다시 경험될 수 있다.
2) 중요한 것은 두려움 없이 대처해 나가는 것이다
3) 두려움이 없다면 공황도 없다
불안과 공황은 당연히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치료중 경험하는 것이 훨씬 낫다. 복식호흡과 근육이완법, 인지수정기법, 자극감응 훈련을 통해 재발을 대처할 수 있다.
2. 두려움에 흔히 하는 질문들
☞ 해결: 1.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가?
2. 가능한 최악의 일은?
3. 가능성은?
4. 촉발인자는?
5. 어떻게 해서 공황으로까지 진행이 되었나?
3. 일상 생활 훈련시 주의점(I)
불안이 낮은 활동부터 도전한다.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필요하다면 세부 단계로 구분한다.
‘증상이 안 일어나면 좋을텐데’ 라는 생각은 금물
미리 상황에 대하여 상상해 보고 일어날 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본다.
그리고 그런 상황에서 자신은 어떻게 대처할 지를 머리 속으로 그려본다
충분히 감각을 경험한 후 이제 까지 배워 온 기법을 사용하여 불안을 낮춘다.
4. 일상생활에서의 자극감응훈련하기 계획 세우기
< 과제 >
1. 일일기분기록지
2. 복식호흡훈련/근육이완훈련
3. 신체감응훈련
4. 일상생활의 자극감응훈련
어느새 다음주면 졸업이네요. 기수 최초로 여성 회장님이 나오셨고, 우먼파워를 느낄 수 있는 아주 적극적이고 활발한 기수였다고 생각됩니다. 아울러 제 개인적으로는 많이 챙겨드리지 못해 늘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간이 갈 수록 여러분들 스스로 느끼지 못하는 자신감, 편안함, 긍정적인 태도가 눈에 띄게 발전하고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런 여러분에게 박수를 보냅니다.
다음주 졸업식 때 뵙겠습니다.
댓글목록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
아니에요^^많이 챙겨주셨는걸요.
수고많으셨어요^^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술마신 다음날 친구만나기, 전철타고 갔다오기, 핼쓰클럽 가서 러닝머신타기, 삼성플라자 갔다오기를 잘 해보시기 바랍니다.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두분만 뵈면 힘이 났었는데 아쉽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