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회 수강 내용정리 및 소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관련링크
본문
무엇이 공황을 일으키는가~
먼저 공황의 생리적 측면을 이해해야 ~공황은 위험 또는 위협적 상황에 맞서 싸우거나 도주하기위한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 그래서 응급반응 또는 투쟁-도주반응이라함 그러므로 공황은 우리를 위험에 빠뜨리거나 해롭게하는 존재가 아닌 도리어 보호해주는 존재
재빨리 달려오는 차를 보고 엄청난 불안 공포감과 함께 순간도주반응을 일으키며 재빨리 안전하게 몸을 피하고 나서 안전하게 차를 피해 건너는 방법을 터득하듯이 공황의 모든 요소들 또한 위험으로부터 나를 보호하기 위한 즉각적 조치로 심장이 왜 뛰는지 왜 숨을 쉬기가 힘이드는지 걱정하지 않아도되는 방법을 알게됨으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줌
우리의 몸이 위험을 감지하게되면 자율신경계 곧 교감신경계와 부교감신경계가 작동 교감신경계는 긴장.불안할 때 부교감신경계는 평상시 안정감을 느낄때 활성화됨 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 교감신경계의 모든 부분이 반응을 하여 공황시 수많은 증상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것 부신에서 분비되는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이라는 화학 물질이 교감신경계의 전달물질로 사용되는데 이 물질이 파괴되고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어 이완상태로 들어가면 교감신경의 작동으로 인한 응급반응 즉 공황상태가 멈추게 되는 것임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처럼 극단의 위험한 상황에 가기 전에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 됨으로 우리의 몸을 지켜준다는 것이다 단지 교감신경계의 반응이 중단된 뒤에도 아드레날린과 로드아드레날린이 잔류하는 동안만 불안상태가 지속된다는 것 그러나 다시 닥쳐올지 모르는 위험에 대처 응급반응을 재활성하기 위한 경계 태세로 몸에 해롭지 않은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임
공황은 어떵게 발생하는가
공황환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응급반응시 일어나는 신체증상때문 신체증상이 일어나면 우리는 놀라게 되고 우리의 뇌는 외부에서 위험요소를 탐지하지 못함으로 결국 우리 내부를 탐지하게 됨 그 결과 내 몸이 죽어가고 있는 것은 아닌지 등의 생각이 죽거나 자제력을 잃을 것 같은 끝없는 공포감으로 발전 하게 되고 작은 신체반응에도 두려움이 생겨나게되고 신체감각은 더욱 강화되어 공황의 악순환을 겪게 되는 것임
몸 안에서 발생하는 작은 신체감각(심장이 두근거린다든지 숨이 잘 안쉬어지는 등)에도 또 공황이 오지는 않을까 지난번처럼 질식할 것같아 발작하거나 죽지는 않을까 하는 공포감에 또 언제 느닷없이 공황이 파도처럼 밀려오지는 않을까 하는 끊임없는 불안과 두려움 속에 살아야 하는가
그러나 분명 공황은 우리를 해롭게 하지도 않을 뿐 아니라 반드시 치유할 수 있는 병
공황을 치유하기 위해서 우리는 냉철한 행동과학자가 되어야 한다 공황에 대한 불안감 공황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신체증상 사고 행동(도주. 회피)에 대한 정확하고 꾸준한 관찰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수강소감
공황이 결단코 위험하지 않으며 면밀한 관찰자가 되어 공황에 직면하며 대처해나가는 힘을 이 프로그램을 통해 터득한다면 꼭 기나긴 공황의 사슬을 끊을 수 있다고 믿습니다
무엇보다 과제 열심히! 해야된다는 것을 다시한번 느꼈구요 정말 내 병에 대해 의사 선생님보다 내가 전문가가 되어야 한다는 걸 절감했어요
댓글목록
운영자님의 댓글
운영자교재를 아주 잘 정리하셨습니다. 자신의 신체증상에 대한 목록을 잘 정리해 두시면 나중에 고치기가 용이합니다. 알면 두렵지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