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기 수업내용- 일상생활에서 공황과 맞닥뜨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관련링크
본문
< 경과 >
윤00 - 개인적으로 힘든 일이 있어서 저번 주에는 불가피하게 참석을 못했다. 이제
것을 기회로 삼아 더 열심히 참여하고자 한다. 다음주에는 가장 취약한 부분인
버스타기를 실제로 해야하는데, 치료진과 함께라는 것 때문에 좀 안심이 되고,
잘 해볼 생각이다.
김00 - 회전의자가 없어 김일성 눈갈빼기라는 연습으로 대신하고 있는데, 해볼만 하다.
오00 - 가장 힘들었던 것이 과호흡하기와 회전의자 돌리기였는데, 그날 버스타고
가다가 토할 뻔 했다. 연습은 따로 못했다. 그렇지만 이제 공황이 와도 아무렇
지 않다는 생각도 들고, 많이 호전 되었다.
김00 - 연습을 못했다. 그렇지만 버스타보기는 꼭 할 거다.
< 수업 내용 >
공황이 왔을 때의 전략은 일단 안심하는 것이다.
다음 신체증상을 파악하고
무슨 생각을 하는지 파악하고 그 생각을 평가 수정한 뒤 부정적 사고를 반박한다.
내 몸이 불편함에 대해서는 신체조절법으로 해결하고, 신체감각에 자꾸 부딪히면서 공황을 극복하도록 해야한다.
1. 치료 중 겪는 공황
치료 진행 중 공황의 경험은 오히려 도움이 된다.
증상은 언제든 다시 올 수 있다. 그렇지만 증상이 와도 두려워 하지 않으면 되고, 단지 불편할 뿐임을 알면 된다. 재발 시 그 자체로 힘들어 하지 말고 배운 기법을 잘 활용해보자.
2. 두려움에 흔히 하는 질문들
- 너무 갑작스러워 아무 생각할 수 없다
해결:
1.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가
2. 가능한 최악의 일은?
3. 가능성은?
4. 촉발인자는?
5. 어떻게 해서 공황으로까지 진행이 되었나?
- 공황 때 역시 부정적 자기-진술(질식해 죽을 수도 있어)만 생각나더라
해결: ‘이런 느낌은 수없이 경험했지만 한번도 큰일이 난 적은 없어, 웃기지마’
- 호흡곤란과 근육긴장은 어쩔 수 없더라
해결: ‘해도 괜찮다, 불편할 뿐이지’
3. 일상 생활 훈련시 주의점(I)
불안이 낮은 활동부터 도전한다.
구체적으로 계획을 세우고 필요하다면 세부 단계로 구분한다.
‘증상이 안 일어나면 좋을텐데’ 라는 생각은 금물
미리 상황에 대하여 상상해 보고 일어날 일에 대하여 마음속으로 그려본다.
그리고 그런 상황에서 자신은 어떻게 대처할 지를 머리 속으로 그려본다
충분히 감각을 경험한 후 이제 까지 배워 온 기법을 사용하여 불안을 낮춘다.
4. 일상생활에서의 자극감응훈련하기 계획
김00 - 집에 혼자 있기, 1시간 넘게 걷기, 우리집 차 타기, 버스타기
윤00 - 지나가는 관광버스 바라보기, 버스나 지하철 타기, 길거리 걷기, 전화 안받아도
다른 생각으로 돌리기
오00 - 혼자서 길거리 다니기, 혼자서 집보기, 자동차 운전하기, 영화 관람, 추운날
밖에 나가기
김00 - 커피 마시기, 술 마시기, 빨리 걷기, 달리기, 뱅뱅돌기
5. 기타 질문
윤00 - 남편이 전화를 받지 않으면 화가 나서 공황유사 증상이 생기는 데 이것도
공황과 관련이 있는지?
그 때의 신체감각은? 가슴 뛰고 머리가 터질 것 같음
기분은? 화남
생각은? 가만 안둬야지, 안받을리가 없는데 왜 안받지?
나에 대한 애정이 식었나?
실제로 왜 안받았나? 전화가 온 줄 몰랐다.
현실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일은? 일단 전화를 받으면 다시 괜찮아진다.
김00 - 공황과 관계가 없이 죽음에 대한 생각이 자주 떠오른다. 죽어서 어떻게 될까?
내가 묻히면 다른 사람들은 어떨까? 정말로 영혼이 있을까? 나도 영혼이 있을까?
오00 - 대구 지하철 참사 희생자들도 정신과 치료를 받는 것을 보았다. 그들의 공황에
대해서는 무슨 의미인가? ---> 정상 반응. 그럴 때 공황 안생기면 이상함.
< 과제 >
일일기분기록지
호흡과 근육이완훈련 기록지
수강소감
일상생활에서의 자극감응훈련에 대한 평가
이번 시간에는 예상외로 많은 분들이 불참하셨습니다. 올려놓은 자료 잘 참고 하시구요, 다음 주에는 드디어 노출훈련을 할 계획입니다. 자세한 사항을 공지하여 올려드리겠습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