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기 - 4. 긴장된 근육을 편안하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관련링크
본문
< 경과 및 과제 >
최00 - 복식호흡은 의식적으로 연습하고, 잘 된다. 최근에 공황 증상은 없었다.
전00 - 복식호흡 훈련은 잘 하고 있다. 항상 목에 걸린 듯한 느낌이 있다.
이00 - 공황은 별로 문제가 아닌데, 다른 부정적인 생각을 고치는 것이 관건이다.
복식호흡을 하다보니 평상시에도 1분에 10번 정도 숨을 쉬게 되었다.
김00 - 집으로 외박 나갔다가 불안하고, 숨이 찼었는데, 배운대로 호흡을 해보니 신기
하게도 괜찮아졌다
송00 - 현기증이 가끔 일어났다.
***** 불안 요소표 *****
최00 - 배가 아프고, 등이 땡기고, 눈이 침침했다. --> 또 시작이구나 --> 조급해지고
짜증을 냈다.
전00 - 머리가 무거워지고 호흡이 곤란하다. 열이 오르며 손이 저리고 비현실감이
생긴다 --> 미칠 것 같다. 큰 병에 걸린 것 같다. 나는 이제 죽는가보다 -->
안절부절 한다. 살고 싶지 않고, 다른 눈에 보이는 모든 사람이 부럽다.
***** 공황 요소표 *****
전00 - 어지럽고, 심장이 뛰고, 열이 오른다. 호흡곤란, 손 발이 저리다. --> 뭘 잘못
먹은 것 같다. 죽을 것 같다. 큰 병에 걸린 걸까 --> 주위 사람에게 도움을
요청한다. 호흡을 빨리 한다. 안절부절한다.
김00 - 근육이 긴장되고, 앞이 뿌옇다. --> 죽고 싶다는 생각만 든다. 내가 왜 이러나
이러다 미치는 것 아닐까? 이런 병이 다 있나 --> 밖에 나가서 울었다.
최00 - 심장이 뛰고 배가 아프다. 등이 땡기고 식은땀, 현기증, 얼굴이 달아오름 -->
큰 병에 걸린 게 아닌가? 병원에 가봐야지 --> 안절부절 한다. 장소를 회피했
다가 다시 온다. 찬물로 세수를 한다.
이00 - 숨이 차고, 가슴이 뛰고, 가슴이 터질 것 같다. --> 혹시 죽는 것이 아닐까
미치는 것이 아닐까? --> 안절부절 못했고 일어서서 방안을 왔다갔다 했다.
송00 - 현기증, 공포감, 불안 --> 숨이 멎어 버리는 것은 아닌가? 정상적이지 않아.
--> 회피, 심호흡
***** 공황 전개과정 *****
전00 - 하루 일과를 설명하기 시작
호흡 곤란, 목에 걸린 듯한 느낌
머리가 무거워짐
심장 뛰고 어지러움
목소리가 떨리고 가슴 답답
대충 설명 후 약 복용
특히 바쁘고 급할 때는 호흡 조절이 안되서 빠르고 가프게 숨쉰다. 얘기하다가 심호흡하며 얘기를 멈췄다가 다시 이야기를 한다. 급하니까 호흡이 더 빨라진다.
Q. 공황이란 무엇인가?
송00 - 이유없이 극심히 불안하고, 생각이 과다하게 부정적으로 들고, 불편한 상태
최00 - 두려움이 엄습해오는 것
이00 - 갑작스럽게 예기치 못한 불안감이 닥쳐오는 것
김00 - 듣도 보도 못한 병으로 죽는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것
Q. 내 몸에 이상이 없다는 믿음은?
김00 - 믿는다.
이00 - 거의 믿고, 공황이 없어서 이젠 신경도 안쓰지만 굳이 점수로 치면 90%
전00 - 내몸을 못믿어서 90%
최00 - 100%
송00 - 90%
< 오늘 수업 내용 >
공황 때 오는 증상은 교감신경의 발동이다. 상황을 위기 상황으로 인식, 특히 위험하지도 않은 상황을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고쳐야 한다.
1. 근육이완 훈련
- 불안한 마음과 이완된 신체는 공존할 수 없다.
- 시계추 원리를 이용
- 긴장상태와 이완상태를 대비시켜 이완시의 느낌을 파악한다.
2. 이완 전 온몸 긴장
김00 - 숨차다
이00 - 온 몸이 아프다
전00 - 숨차고 어지럽다
최00 - 달아오르고 식은 땀
송00 - 띵하다
3. 점진적 근육 이완법
전신을 16개 근육근으로 나누어 실시
이완시 신체감각에 집중할 것
- 유의사항
1. 억지로 이완하려고 노력하지 말 것
2. 미리 동작하지 말고 편안한 마음으로
3. 중간에 불필요한 동작은 자제할 것
4. 이완시 편안하게 복식호홉을 할 것
5. 대충 10번보다 집중한 한번이 효과적임
6. 이완시 신체감각에 집중할 것
- 실시 후 평가
최00 - 몽롱하고, 기운이 촥 빠지는 느낌
송00 - 하고 나서 더 아픈 것 같기도 하다.
이00 - 잡념이 많이 들어서 집중하기 힘들었다.
- 실제 훈련시 유의점
1. 방법을 아는 것과 할 수 있는 것은 별개이다.
2. 수시로 연습
3. 하루 2회, 규칙적인 시간에 할 것
5. 기억이완
- 어느 장소에서도 가능함
- 편안한 자세로 복식호흡 한다.
- 각 근육근에 차례로 집중하면서 이완시의 감각을 떠올려 이완을 유도한다. 20분 정도
- 팔, 다리, 몸통, 어깨, 전신
- 1~2분 정도 편안하게 이완된 느낌을 유지하면서 복식호흡을 한다.
6. 반사이완
- 편안한 복식호흡
- 편안하다 되뇌이면서 이완시의 느낌을 떠올린다.
- 수초 이내에 깊은 이완상태로 들어간다.
- 꾸준한 연습을 하면 누구나 가능하다
7. 응용이완
- 상상을 통한 응용이완 : 고소공포증이 있을 때 3층을 떠올리고, 5층을 떠올리고..
- 실제 상황에서의 응용이완
☞ 책을 잘 읽어봅시다. 교육내용대로 시행하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 과제 >
호흡조절법/ 근육이완법
일일기분기록지
수강소감
불안요소표, 공황요소표, 공황전개과정 중 하나 써오기.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