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기와 두번째 만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관련링크
본문
> <한주간의 경과>
>
> 이00 - 평상시 같으면 한시간 씩 가던 공황이 15-20분만에 끝이났다. 이곳에 들어올
> 때도 갑자기 답답함이 느껴지고 공황이 왔지만 일단 참아보니 그냥 지나갔다.
> 가끔씩 스트레스가 쌓이거나 하면 공황이 오고, 공황이 위험하지 않다고 믿는
> 것은 한 50% 정도? 스트레스 받으면 불안과 우울감이 높게 나온다.
> 김00 - 공황으로 인해서 무엇을 못하거나 하지는 않는다. 공황이 위험하지 않다고 믿는
> 것은 100%다. 첫 시간에 들어보니 나보다 더 심한 사람도 많다는 것에 대해
> 위안(?)을 얻었다.
> 윤00 - 내 몸에 이상이 없다고 100% 믿기는 하지만 내가 공황이라고 믿는 것은 20-30%
> 정도. 답답하기 때문에 버스를 못타는 것인지, 버스를 타서 답답하고 소변이
> 마려운 것인지 잘 모르겠다. 여러 병원을 다녀봐도 정상이라는 소견을 받기는
> 했지만 아직 확신이 안선다. 공황으로 인해 두려운 것도 있다. 버스를 언제
> 타게 될지 아직 모르겠다.
> 김00 - 내일 버스를 타고 가야하는 것 때문에 3-4일전부터 극심한 불안감, 염려감이
> 생겼다. 차만 타면 숨도 막히고, 누가 목을 꽉 조이는 것 같다. 쓰러진적은
> 없었다. 약 20분정도만 지나면 괜찮기는 하다. 차라리 피곤해서 차타고 가다가
> 자버리면 그만인데, 그것이 아닐때는 이러다가 숨막혀 죽는 것이 아닐까? 쓰러
> 지면 어쩌나 하는 불안감 때문에 안절부절 못하겠고, 밤에 잠이 안온다. 너무
> 걱정된다. 공황이 위험하지 않다는 것도 25%정도.
> 오00 - 공황이 막상 닥쳐오니 겁이 났다. 50%정도는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 황00 - 회사에서 가는 해외여행을 갔다 왔다. 공황때문에 죽지 않는다는 생각은 했지만
> 그래도 두려움은 반반이다. 신기하게도 불안은 없었다. 가슴 통증이 없어졌다.
> 남에게 누를 끼친다는 생각때문에 약간은 불안했다. 몸이 따라주질 않으니 이러
> 다 죽는 것이 아닌가 했다. 사무실에 출근하니까 가슴 통증이 다시 시작됐다.
> 내가 정말 스트레스를 받기는 받나보다. 거기가서는 단체 식중독에 걸렸는데
> 나는 식중독 까지는 아닌 것 같고, 몸이 지쳤고, 온도차가 심해서 힘듬
> 임00 - 약을 안먹다가 먹으니 좀 편해지는 느낌이다. 약먹으니까 용기도 생긴다.
> 그렇다고 크게 못가는 곳을 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두려움 50. 보이는 증상과 눈에 보이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 한방적으로는
> 이상이 있고 몸에 뭔가 남는다고 생각이 든다. 기억이나 사건은 몸에 남는다.
> 김00 - 최근 몇년 간 직장도 없었다. 온갖 병원을 다 돌아다니고, 삼상의료원에 가서
> 검사도 받아봤지만 정상소견 나왔다. 최근에는 유전자 검사도 의뢰해놨다.
> 병원에 오기 전에 지팡이를 짚고 다닐정도로 몸이 안좋았다. 한두달 전부터 그랬
> 다. 교정치료를 받던 중 잘못되어서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달릴 때 불편하다. 힘
> 없고, 구조적인 이상이 있는 것 같다. 공황인지 또는 몸에 이상이 있는지 혼란
> 스럽다. 그래도 공황이 오면 정면으로 대응하려고 한다. 올테면 오라고.
> 두려움 50
> 이00 - 공황에 대한 두려움은 50%. 참지를 못하겠다. 주말이나 밤이되면 두렵다.
> 언제든 쓰러질 것을 대비해서, 또는 응급실 가서 치료 받을 것을 대비해서
> 돈을 많이 가지고 다닌다.
>
> < 오늘의 강의 내용 >
>
> 1. 응급반응으로서의 공황
>
> 공황 그 자체는 정상
> 공황이 차안이나 버스, 비나 눈이 올 때 갑작스럽게 오는 것이 문제
>
> 2. 공황의 생리적인 측면
>
> 우리의 치료 목표는 신체적 증상으로 인한 두려움을 없애는 것입니다.
> 따라서 신체적 증상이 왜 생기는가를 아는 것은 중요합니다.
>
> 우리몸에는 자율 신경계라는 것이 있고, 그것은 교감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로 나뉘어짐.
> 자율이란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을 말함.
> 예> 소화기능 ; 음식 섭취시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소화기능이 이루어짐.
> 양자택일적 시스템이라 하나가 발동하면 전체가 반응함.
>
> 공황환자들이 병원에 오면 반은 낫습니다. 교감신경계 활성화가 줄고 부교감 신경계가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안심하고 이제는 살았구나 하고 생각이 듭니다.
> 신체적 증상 중 손발이 저리고, 근육이 긴장됨을 느끼는 것은, 산소가 체내에 너무 많아지면, 그 산소가 큰 근육으로 가게 되어, 말초신경이나, 피부같은 곳에 갈 산소가 모자라게 되고 그로 인해 저린 느낌이 드는 것입니다. 공황 또는 불안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우리 몸의 자동적 반응이죠.
> 보통 숨을 헐떡거리기 때문에 산소호흡기를 대주기도 하지만 원칙은 다릅니다. 몸 안에 산소가 넘치기 때문에 다른 방법을 써야하는데 손쉽게 비닐봉지를 입에 대고 자신이 뱉은 숨을 다시 들여마시는 방법을 씁니다. 그래야 우리체내의 산소량 균형을 맞출 수 있습니다.
> 시간이 흘러도 완전히 좋아지지 않는 것은 실제로 신체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공황이 올까봐 불안해하는 마음 때문입니다. 큰일났다고 생각하는 잘못된 믿음이나 생각이 몸을 굳게 만들고, 걸음도 못걷게 만들기도 합니다.
> 부교감 신경을 활성화 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
>
> < 과제 >
>
> 일일기분기록지
> 2회 수강 소감
> 4장, 5장 예습.
>
>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