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클리닉게시판

9기 7장 과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작성일21-04-13 11:18 조회120회 댓글0건

본문

인지모델
1.인지치료는 인지모델을 근거로 하며 인지모델은 사람들의 감정이나 행동이 어떤 사건에 대한 그들의 지각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합니다.

2.사람의 느낌이나 감정은 그 상황자체가 직접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을 해석하는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3.사람들은 그상황에 대해서 해석하고 생각하는 방식에 따라 감정의 변화를 느낍니다 상황 그자체가 그들이 어떻게 느끼는가를 직접적으로 결정하지 않습니다.그들이 감정적 방응은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자동적 사고
1.우리는 쉽게 드러나는 표면적 수준의 사고뿐 아니라 이와 동시에 작동하는 또 다른 수준의 사고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2.예를 들어 책을 읽는 동안 여러수준의 사고에 주목할수있습니다. 한 부분은 이 책의 정보에 집중 그러인해 정보를 이해하고 통합하려 합니다.
그러나 이와는 다른 수준에서 우리는 매우빠르게 진행되는 평가적인 사고를 할수 있습니다
이러한 하고를 자동적 사고라 부릅니다.

3.이것은 이모저모 따져보고 합리적으로 결론을 내리는 그런 사고가 아니라 이것은 자동적으로 튀어나오는 것처럼 보입니다. 그리고 빠르고 짧게 나타납니다.이런 자동적 사고는 인식할수 있으나 대개 뒤따르는 감정의 변화만 인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4.결과적으로 우리는 자신의 자동적 사고를 사실처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기 쉽습니다.그러나 우리는 이 감정의 변화에 주목해서 자동적 사고를 식별할수 있는 방법을 배울수있습니다.

5.우울한 기분을 느낄때 스스로에게 물어보십시오 "그떄 내마음에 스쳐지나간것은 무엇이었나? 자동적사고는 언어적일수 있고 이미지나 심상일수 있으며 기억일수도 있습니다. 이에 주의를 집중하여 자동적 사고를 파악해 봅시다.

6.이러한 자동적 사고를 인식하게 되면 사고의 타당성을 평가할수 있고 우리의 해석이 잘못된것을 알고 교정한다면 우리는 기분이 좋아지는 것을 느낄수 있을것입니다 인지용어로 역기능적 사고가 합리적인 반추과정을 거치게 될떄 일반적으로 그사람의 감정은 변하게 욉니다.

7.그러면 자동적인 사고는 어디서 오는것일까? 한 사람이 어떤 상황을 다른사람과 다르게 해석하는것은 무엇일까? 그리고 같은 사람인데도 시간에 따라서 유사한 사건을 왜 다르게 해석할까? 이 해답은 지속적인 인지적 현상 즉 "믿음" 과 연관이 됩니다.

핵심믿음
1.어린 시절 처기부터 사람들은 그들 자신과 다른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세상에 대한 확실한 믿음을 가집니다.
가장 중심적인 핵심믿음은 흔히 그들 자신조차도 분석할수 없는 아주 근원적이고 깊은 것입니다.
이러한 믿음은 그 사람에게 절대적인 진리로 받아들여지게 됩니다.

2.핵심믿음은 가장 근원적인 수준의 믿음입니다.
핵심믿음은 사고의 전 영역에 걸쳐있고 경직되어 있고 지나치게 일반화 돠어 있습니다.
반면 자동적 사고 즉 그사람의 마음속을 스쳐가는 실제적인 단어나 영상은 특정한 상황에서 일어나고 인지의 가정 표묜적인 수준으로 간주할수있습니다.


중간믿음
1.중간믿음은 자동적 사고와 핵심 믿음사이에 있는 중간단계의 신념체계입니다.중간믿음은 핵심믿음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며 자기 자신과 타인 세상에 대한 일정한 태도 규칙 가정으로 구성됩니다.

2.핵심믿음과 중간믿음은 어떻게 생기는가? 사람들은 그들의 초기 발달 단계로부터 자신의 환경을 이해려고합니다.사람이 환경에 적응하여 잘 기능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경험을 조리있게 조직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세상이나 다른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은 어떤 이해나 학습 즉 믿음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것들은 정확성과 기능적 측면에서 다양할수 있습니다.

3.여기서 중요한점은 역기능적 믿음이 탈학습될수 있으며 보다 현실적이고 기능적인 새로운 믿음이 치료를 통해서 개발되고 학습될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4.인지치료는 일반적으로 의식적인 인식에 가장 가까운 자동적 사고를 초기에 강조합니다. 증상을 개헌하기 위하여 특정 상황에 대한 자신의 생각 즉 자동적 사고를 스스로 인식하고 평가하며 수정할수 있도록 배웁니다. 자동적 사고의 수정법을 배운뒤에는 역기능적 사고의 아래에 잠재되어있소 더많은 상황과 관련되어있는 중간 믿음과 핵심믿음에 조정을 맞추어 치료합니다.
연관된 중간수준의 믿음과 핵심믿음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평가하고 수정함으로써 사건들에 대한 환자의 지각과 결론은 변하게 됩니다. 보다 근본적인 믿음을 근보적으로 수정하면 향후 장애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자동적 사고와 행동의 관계

1.어떤 특이한 상황에서 한 사람의 내재된 믿음은 그사람의 지각에 영향을 주고 이것은 상황에 특이한 자동적 사고에 의해서 표현됩니다.이러한 자동적 사고들은 또 다시 그사람의 감정에 영향을 줍니다. 한단계 더나아가 자동적 사고는 행동에 영향을 주게 되고 생리적 반응에도 영향을 줍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경기정신과의원 | 경기 수원시 장안구 영화동 443-13 사업자 등록번호: 135-90-85039 | 대표자: 윤희웅 | TEL: 031.247.1135

Copyright © 2021 경기정신과의원 All rights reserved.

youtube
instagram
facebook
twitter
TODAY
58
TOTAL
120,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