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기 과제:공황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관련링크
본문
공황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1. 공황 환자들이 놀라고 두려워하는 이유: 응급 반응 시에 실제로 경험하는 신체 증상 때문
1) 응급반응의 특징인 예측 불가능한 갑작스런 신체 증상을 경험
2) 그 신체 증상에 놀라게 됨
놀라는 이유-응급 반응이 일어나면 우리의 두뇌는 위험을 감지하려고 하나 외부에서 뚜렷한 위험이 발견되지 않으면 우리 두뇌는 우리 자신을 탐색하고 거기서 내가 죽어가고 있거나 조절 능력을 상실한 것이다라는 등의
이유를 만들어냄. 누구나 자제력을 잃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면 두려움을 느끼게 됨.
결과적으로 공황의 신체 감각을 경험하게 되면 그 감각에 대한 두려움이 생겨나게 되며 결과적으로 신체 감각이 더 강화되고 두려움도 더 커지게 됨. 이는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 되거나 신체 감각에 대해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느껴서 두려움이 끝나게 될 때까지 지속.
2. 공황의 이해
1) 공황과 공포증의 차이점
(1) 공포증은 두려움의 대상이 외부에 있고, 공황은 두려움의 대상이 내부의 신체 증상.
(2) 공포증과는 달리 공황은 신체 감각에 대한 두려움이 다시 신체 감각을 강하게 만듬.
(3) 공황에서의 신체 감각은 언제 일어날 것인지 예측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신체 감각으로부터 도피하는 것이 불가능.
(4) 공포증은 대상에 대해 일반적으로 예측이 가능하고 도피할 수 있지만 공황은 예측과 도피가 불가능한 신체 감각을 두려워함으로써 언제 재발하고, 재발하면 어떻게 대처해 나갈 것인지에 대해 많은 불안감이 생겨남.
2) 요약
(1) 공황은 신체 감각을 죽거나, 미치거나, 자제력을 잃거나, 심한 망신을 당하는 것에 대한 신호로서 잘못 해석했을 때 생겨나게 됨.
(2) 신체 감각을 잘못 해석하고 두려워하기 때문에 공황을 예측할 수 없으며 제어할 수도 없다고 생각.
3. 공황의 발생(갑작스런 신체 감각)
1) 스트레스-어떤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체내에서 아드레날린이나 그 외의 화학물질이 분비되고 이들은 시시각각 이런 저런 증상들을 일으킴.
2) 과민성-일단 공황에 대한 예기불안이 시작되면 예기불안이 다시 신체적 스트레스를 더 증가시키고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 증상을 강화시키며 앞으로 닥쳐올 공황의 신호(신체 증상들)에 더욱 과민하게 반응.
3) 조건화 반응-자극이 일반화되는 원리를 따름. 자극이 일반화되면 유사한 상황과 공간을 두려워하고 비슷한 감각을 일으키는 상황까지도 두려워함.
4. 결론
1) 공황은 그 첫 번째 목적이 개체를 활성화시켜서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려는 것이기 때문에 응급 반응으로 알려져 있음.
2) 뚜렷한 이유없이 신체적 증상이 지속되면 사람들은 그런 정상적 응급 반응을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문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잘못 해석. 이 경우, 그 신체 감각들은 위협적인 것으로 해석되고 그 결과 또 다시 총체적 응급 반응 초래.
3) 따라서 응급 반응에 대한 우리의 오해나 편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야하며 그것을 교정해야 함. 그런 오해와 편견이 우리의 예기불안과 공황을 더욱 악화시킴.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