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p24-27)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관련링크
본문
본인 과제의 핵심은 '위험감지시 투쟁/회피과정에서 발생하는 신체변화에 관련한 것으로 문제는 위험상황이 없는데도 위험하다고 느끼는 것이고, 투쟁/회피로 인한 신체반응은 아주 자연스러운 것이기 때문에 본인이 스스로 불안요소를 가중하지만 않으면 단 10분내라도 평상심으로 돌아갈 수 있다'라는 내용임.
1. 공황의 신경학적, 생화학적 효과
*핵심:ㄱ.'불안은 영원히 지속될 수도 없고, 점점 더 심해져 해로운 수준까지 가지 않는다'는 점.
ㄴ.'불안인자인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은 완전히 파괴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리므로 위험과 그 위험에 동반된 감정의 동요가 사라지고 교감심경계 반응이 중단된 뒤에도 화학물질이 교감신경계 내에 얼마동안 잔류하고 있기 때문에 그동안은 예민하고 불안한 상태가 지속된다는 것',
-공황발생시 신경.생화학적 기전
:위험감지(or예견)-대뇌의 자율신경계로 정보전달(교감심경계는 위급상황에대해 투쟁/도피토록 우리몸을지시-심장박동을 격하게,피부에 땀이나게, 이성적사고를 불가능하게 등등, 부교감신경계는 교감신경계와 반대역활로 우리 인체를 평상상태로 되돌아오도록 함, 위험감지시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이 분비되어 교감신경계의 전달물질로 사용되며 교감신경계 활동은 이들 두 화학물질이 없어질때까지 계속되며 한편 이 두 물질은 신체내에서 자연 파괴되고 이어 부교감심경계가 활성화되면서 평상의 몸으로 회복됨)
2. 심혈관계 효과
*핵심:'공황시 심장박동이 증가하고 혈류가 재분포 되는 것은 위험에 맞서기 위한 인간의 근본적이면서도 원시적인 생존을 위한 신체기전이라는 것임'.
:공황발생-투쟁/도피위해 미리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호흡이 빨라지며 피부나 손, 발가락 같은 말초조직보다는 다리근육같은 보다 큰 근육으로 이동하므로 피부가 창백해지고 손, 발이 차가와짐
3. 호흡계 변화
핵심:'공황상태에서 호흡증가 상태가 계속되면 호흡이 중단될 것 같고 숨이 막히는 느낌, 가슴통증 및 죄어드는 듯한 느낌이 발생하며, 공황당사자는 아무 활동도 하지 않게 되는 결과(산소소비가 적음) 어지럽고 시야가 흐려지고 혼라스러운 불쾌한 증상들을 일으키며, 이러한 신체 변화는 뷸편감은 줄지언정 결코 생명에 위협이 되지 못한다는 것임.
4.이상과 같은 응급상황시 도피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신체는 땀을 분비하게 되며 눈동자가 커져 가까운것은 잘보이나 전반적으로 시야가 흐리게 되고, 입술마름, 소화기능저하, 근육긴장 및 통증,떨림 등을 일으켜 많은 양의 신체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므로 탈진하게 된다는 것임.
이상 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