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기 두번째 시간을 앞두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관련링크
본문
이번 시간은 공황의 신체증상이 어떻게 해서 일어나게 되는가를 배우시게 됩니다.
심장이 쿵쾅거리고, 호흡이 막힐것 같고, 팔다리가 찌릿찌릿하고, 속이 울렁거리는 증상들 때문에 공황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 때문에 내 몸에 이상이 있다고 생각하여 여러 치료에 많은 것을 허비하기도 합니다.
이 신체증상이 왜 생기는가를 배우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의 내용
응급 반응으로서의 공황
불안 및 공황은 정상적이고 필요한 반응
위험에 대한 응급반응 또는 투쟁-도피반응
원시시대 우리들의 조상이 공룡을 만나면 .....
지진, 화재, 자신이 타고 있는 차의 기사가 미친 듯이 도로를 질주할 때 우리는 공황을 경험할 수 있다.
공황의 생리적 측면
자율신경계
1) 교감 신경계 : 에너지를 사용하여 신체가
위험에 대처하여 반응하도록
준비시킴
2) 부교감 신경계 : 신체를 평상시의 상태로
되돌아 오도록 함
양자택일적 (all or none) 시스템
교감 신경 활성화의 효과 (I)
심혈관계 효과
심장박동 증가, 혈압 증가, 신체내 혈액 공급의 분포가 변화됨 , 얼굴이 창백해짐
호흡계 효과
호흡의 속도와 깊이가 증가, 질식감, 가슴의 통증 현기증 , 시야가 흐려지는 등의 일시적 증상
근골격계 효과
근육의 긴장, 떨림, 통증, 힘이 빠짐
교감 신경 활성화의 효과 (II)
땀분비 증가
동공의 확장, 머리털이 일어섬
소화계의 활동 감소
침이 마르고, 위장계통의 활동감소, 메스꺼움 거북함, 변비
각성체계의 활성화
신체의 대사활동이 증가, 피로감 , 탈진감
부교감 신경계 기능
신체를 안정된 이전 상태로 회복시킴
공황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연히 소멸 된다.
아드레날린, 노어아드레날린 파괴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잔존 증상이 얼마간 남아 있다.
공황의 신체 증상
기본적으로 정상적인 반응
실제로는 위험한 것이 아니다.
공황의 인지적 측면
응급 반응 시 개체는 위험 요인을 빨리 그리고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주변의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게 되고 매우 예민해져서 당면한 위험의 원인을 찾아보게 된다.
우리의 머리는 온통 위험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차며 때로는 생각이 너무 경직되어 효과적인 대응책을 생각해내지 못하기도 한다.
공황의 행동적 측면
공황은 투쟁-도피 반응이다.
급박함을 느껴서 현재 있는 곳에서 도망가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를 느낀다.
벗어날 수 없는 상황인 경우 안절부절 못 하게 되고 주의 집중을 할 수 없다.
때로는 너무 긴장하여 아무런 행동도 못하고 얼어붙은 듯이 굳어버리기도 한다.
공황장애는 어떻게 생기는가(I)
1)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응급 신체반응을 경험한다.
2) 외부에 위험이 없으면 내부(신체)에서 원인을 찾는다(심장마비, 자제력 상실, 기타 심각한 질병)
3) 응급반응이 강화된다.(교감신경계 활성화)
4) 다시 두려움이 커지고 이어서 응급반응이 강화되는 악순환이 진행된다.
공황장애는 어떻게 생기는가(II)
5) 공황을 몇 차례 반복 경험한다.
6) 최초의 신체 증상들에 자극 조건화된다.
7) 많은 경우 신체 반응은 매우 미묘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고 따라서 공황 발작은 예측, 통제할 수 없는 것으로 경험된다.
8) 비슷한 감각에도 두려움을 느낀다(자극 일반화).
9) 심한 예기불안과 회피행동이 생긴다.
공황장애의 원인
스트레스 (신체적, 정신적)
전반적 취약성 (생물학적,유전적 요인)
대처방식 (생각)- 건강에 대한 과도한 염려
응급 반응에 대한 오해와 편견
1. 미치는 것은 아닌가 ?
2. 자제력을 잃는 것이 아닌가 ?
3. 신경의 손상 또는 소모
4. 심장마비
5. 기절
4장: 약에 대하여
약물치료의 장단점
장점
1) 효과가 빠름, 공황의 억제
2) 연습이나 훈련의 노력이 요구되지 않는다.
단점
1)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
2) 예기불안 및 회피행동에는 효과가 적다.
3) 약물중단 후 증상의 재발이 많다.
4) 의존성이 생긴다.
항불안제(신경안정제)
불안을 단기간 완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됨
발리움(valium), 빅탄(victan) 등
공황의 차단에는 별 효과 없음
고용량 사용시 지나치게 졸리고 처지는 부작용
장기간 사용시 심리적, 신체적 내성, 의존성이 생김
고강도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자낙스(Xanax) 등
진정효과 적고 공황 차단에 효과적
일반적으로 2-4mg, 10mg까지 허용(FDA)
금단 현상 및 반동 현상으로 약을 중단하기 어려움
반감기가 짧다. 하루 3-4회 복용
항우울제
삼환계 항우울제
1) 이미프라민(imipramine) 등
2) 처음에 몇 가지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3) 약이 효과가 있기까지 2-3주가 걸린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1) 프로작(prozac), 세로젯(seroxat) 등
2) 독성이나 부작용이 적다.
약물 중단의 요령
목표일을 정하고 서서히 끊어 가십시오.
감량해 가는 동안 이 치료 프로그램에서 배운 원칙과 대처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십시오.
위의 요령을 주치의와 상의하면서 시행하십시오.
다소의 불안이나 금단 현상은 있을 수 있으나 곧 사라질 것입니다.
치료에 대한 저항
치료를 어렵게 만든다
인지치료에 대한 마음을 열지 않는다
흔한 세가지
한꺼번에 모든 문제를 다루려
호전이 있는데도 부정
계속 노력하기를 거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