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기>제 9회 인지행동치료 - 예측 검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관련링크
본문
예기불안에 대처
1. 신체 증상은 내몸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2. 무슨 생각이나 장면이 스쳐 가는가 ?
3. 나의 생각에 재앙화와 과대평가는 없는가?
4.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을 사용하여 역기능적 사고를 교정하자.
공황에 대처
1. 상황을 직면하고 피하지 말자.
2. 감정을 받아들이고 싸우려 하지 말자.
3. 공황의 경험에 몸을 맡기고 흘러가게 하자.
4. 10분, 20분안에 이 경험은 끝나기 마련이다. 시간을 보내라.
이전의 생각:‘어지러우면 쓰러질 것 같아’
새로운 대처법:‘이전에도 여러 번 어지러웠었지, 실제로 쓰러질 것 같지는 않아, 호흡이나 불안수준이 변해오면서 오는 단지 불편한 감각일 뿐이야’그래도 어지러우면?
신체감각을 없애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부정적 자기진술을 교정하는데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 예측 검증
1. 공황과 관련된 불안한 생각(자동적사고)이 과연 정확한 예측일까?
대상자 1. 에어콘 바람을 쐬면 가슴이 답답하고 가슴에 통증이 온다.
대상자 2. 어떠한 책을 읽든지 집중을 요하면 공황이 오고, 여전히 책 한페이지 넘기기가 어렵다.
대상자 3. 좌석버스를 잘 못탄다.
대상자 4. 미용실에 가서 머리를 자를 때 가위를 갖다 대면 식은땀이 나고 불안
이것이 과연 정확한 예측일까?
2. 우리의 자동적 사고는 추측이나 가설이다.3. 생각은 우리의 감정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왜곡될 수 있다. 4. 예측을 검증하는 것은 왜곡된 생각에 대한 확신을 감소시켜 준다.
◈ 불안과 공황은 전혀 예측할 수 없는가?
1.신체감각이 꼭 불안이나 공황을 의미하는가?
공황은 이전의 공황시 경험했던 것과 유사한 신체 감각에 대한 부정적인 해석 때문이다
이러한 신체 감각에 대하여
매우 예민해져 있고 두려워한다
항상 자신의 몸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때로는 이런 신체감각은 뚜렷이 의식되지 않고도 영향을 끼친다.
2. 모든 불안과 공황은 몇가지 촉발요인과 관련이 있다.
1. 신체상태
- 정상적 신체반응이지만 과거의 불안과 공황과 관련
운동이나 어떤 동작후 심하다.
몸 상태가 안좋아서 혹은 과식으로 속이 미슥거려서
- 정상 신체반응을 불안이나 공황의 신호로 오인
피로, 배고픔, 목마름, 좌절, 노여움
- 전반적 각성 수준이 증가하는 증상
근육긴장, 심박동 증가, 말 떨림, 열감
2. 생각
- 자신의 대처능력에 대한 걱정
- 공황이 다시 오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
- 그 결과 닥칠일에 대한 걱정 : 위험을 느낄때마다 신체는 반응한다.
3. 일반적인 스트레스
- 사이가 안좋은 사람과의 관계
- 친구와의 갈등
- 교통혼잡
*과제
일일 기분 기록지
호흡/근육이완 훈련 기록지
역기능적 사고 기록지
예측 검증표 작성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